본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출제 문제 분석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예시 주제는 2023년 특허전략 'SOEC 특허조사' 주제를 다뤘습니다.
출제문제에 대한 내용을 보시면...


위의 사진에 보여지듯이 문제의 배경, 문제 세부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단, 처음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자신이 선택한 주제를 매일 1번 씩 읽어보는 습관을 가질 것을 권장합니다.
주제에 대해 구글링 조사, 논문 내용 조사, 유튜브 및 다른 각종 강의를 들음으로써, 공부해나감에 따라 매일 학습량이 쌓이기 때문에 문제를 다시 볼때마다, 해당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할지에 대한 방향성이 새롭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문제로 선택을 하겠다!라고 결정을 하셨다면,
출제 문제에 대해 유익하게 접근하기 위해서 1주일 정도는 충분한 개념 공부를 수행해보시는 것으로 권장합니다.
서류 심사 이후에 발표 심사 질의응답을 진행할 때 간혹, 관련 내용들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 또한 들어오며, 보고서의 내용을 밀도있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과정이 정말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coursera, kooc 등 다양한 오픈 강의들이 있으니, 강의 내용을 참고해가며 Notion이나 Google docs 협업 툴로 각자 공부한 내용들을 적으며 팀원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본 대회를 시작하는 팀들은 대회주최기관에서 제공하는 답안작성교육과 멘토링교육을 필히 꼭 꼭! 참여하도록 합니다. 해당 교육에서 수상자로부터 미리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정보를 빨리 듣는 것도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것! 어떻게 하면 해당 문제에서, 남들이 하지 않은 무언가를 할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고민부터 해봅니다. 예를 들어, 위의 주제의 경우 중분류 기술까지만 분류되어있고, 소분류는 제한 없음. 이라고 되어있는데, 이에 대해 소분류도 분류를 해보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식으로 남들과의 차별을 둘 수 있는 차별점을 미리 두어야 향후 서류 심사때 우위를 점할 수 있으며, 그 이후 1차, 2차, 3차 발표심사에서도 평가하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부분을 차별점을 두어 진행을 했다를 강조를 하며 시작할 수 있겠습니다.
"광고 클릭은 작성자에게 힘이 되어줍니다."
#캠퍼스특허유니버시아드정량분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