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Welcome my blog
카테고리 없음

[대회]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02-1 - 기술분류

by kukrobo 2023. 12. 31.
728x90

마음가짐

 

자, 이제 기술 공부를 1~2주 정도 빡 집중해서 진행을 했다면, 기술분류를 수행하려고 할 것입니다.

일단 가져아할 마음가짐은, "빠르게 시도하고 빠른시일내에 여러번 깨져보자"라는 것입니다.

여러번 대회 수행을 해본 결과 갈아엎는 과정은 피할 수 없는 길인거 같습니다. 제일 최근에 진행했던 대회인 2023년 대회에서는 역대급으로 갈아엎었습니다... 물론 실력 부족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 대회에서 크게 3가지의 위기가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위기가 기술분류표 작성입니다.

기술을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할 지가 제일 난감한 사항인지라, 기준을 명확히해야하고, 중요한 세부 기술을 빠트리면 안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분류 기술이 A, B 기술로 분류 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C의 기술이 최근 각광받고 있고, 이제 막 뜨고 있는 기술인지라 C 기술을 소분류 기술로 포함하지 않는다면 C 기술을 아는 심사위원이 해당 보고서에 높은 점수를 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여러번 경험해보며 느낀 점은 정말 여러번 갈아 엎을 수록 그러한 부분은 자동적으로 매꿔지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거 같습니다.

 

일단 해당 부분을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말 여러번 지도교수님과 피드백을 진행하던지, 심사중 위주의 특허를 읽어서 새로운 기술이 나오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기술 분류 작성 요령

 

만약, 선택한 문제에서 중분류 기술까지 주었다면, 중분류를 수정하거나 그대로 가져가고, 가점 요인으로 소분류 기술까지만 잘 분류를 수행하면 되니, 비교적 편할 겁니다. 다만.. 중분류도 주지 않았을 경우에는,, 정말 배로 힘들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제가 사람들이 더더욱 안하려고 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낮은 경쟁률이 나타납니다.)

 

아래의 사진은 중분류까지 정해진 상태에서 소분류를 어떻게 나눌지 계속해서 고민했던 소분류 선정 과정 사진입니다.

제가 권장하고 싶은 것은, 1차적으로 크게 보이는 것들을 위주로, 먼저 나누고, 검색을 한번 수행해보는 것입니다.

수행해보고 잘 나눠진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 분류대로 가는 것도 무방합니다.

 

크게 나눴을 때 소분류 기술이 1000개 이런식으로 많이 나온다면, 그건 너무 덩어리 느낌으로 나눈 것이기 때문에 그 속에서 세부적으로 나눌 수는 없는지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소분류 기술은 A,B,C 기술이 있다면 "A,B,C 서로 겹치지 않는 각기 다른 기술"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쯤되면 중분류 덩어리 기술을 모두 소분류로 분류해야하는지?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개인적인 답변은 "아닙니다" 입니다.

 

여러번 시도 해본 결과, 모든 기술을 소분류로 죄다 분류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은 중분류 기술 내에서 주가 되는 탑 1,2,3,4 기술 정도를 선정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결론

 

기술 분류후, 간단한 검색식으로 검색을 진행했을때, 얼추 나눠진다는 판단이 들면 킵고잉하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다시 재분류를 수행하면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