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Welcome my blog
카테고리 없음

[대회]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02-3 유효데이터 선별

by kukrobo 2024. 1. 23.
728x90

기술분류와 기술검색식 작성이 끝났다면, 유효데이터를 선별해야할 것입니다.
저는 WIPSON 사이트로 검색을 진행했기 떄문에, 윕스온 기준으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는 윕스온 상단에 있는 통합검색 창에서, 전체문서 범주로 설정하고, 영어와 한글을 전부넣어 검색을 돌렸습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중복제거를 설정하였습니다.
그 후 검색 결과 전체를 엑셀파일로 다운받아, 아래의 사진과 같이 엑셀 칸을 늘려서 초록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색을 설정해가며 특허들을 분류했습니다.
초록새은 유효데이터, 빨간색은 누가봐도 해당 기술과는 관련이 없는 데이터, 노란색은 애매한 특허 데이터로 설정한 뒤,
초반에 100개의 특허 정도는 같이 읽다가, 나머지 특허들은 3명이 각자 특허들을 읽고 분류하여 마지막에 취합하였습니다.

저희의 경우 대분류 한개당 특허 5000여개가 나왔다면, 보통 분류하는데 1주일은 걸렸던것 같습니다. 또한 여러번 대회를 경험하며 느낀 것이지만, 5000여개까지 특허 검색 결과가 나올 필요는 없는거 같습니다.

저는 항상 '인접해 있는 기술도 향후 기술이 발전하여 문제에 대한 기술에도 편입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두고 문제를 접근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확장키워드도 많이 찾아 검색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향후 발표심사를 진행할 때, 조사를 더 많이 했다는 식으로 어필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나름 노하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유효데이터들을 처음 선별 하실 때에는, 이 특허가 우리가 정한 기술 범주에 포함되는 건지, 의문이 드는 상황이 많을 것입니다. 그럴 때마다 팀원들과 잘 타협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솔직히 기술의 명확한 경계는 없고, 정말 이건 아닌거 같다라는 생각이 들지 않게끔만 기술범주를 설정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유효데이터들을 선별할 때, 잘 분류가 되지 않거나, 기술조사를 하다가 중분류 속에 새로운 중요 기술이 발견되면, 갈아엎고 기술분류부터 다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여러번 언급드리는 것이지만, 갈아엎을수록 퀄리티가 높아진다는 것을 기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힘내세요! 여기가 첫 관문입니다!

#캠퍼스특허유니버시아드 #유효데이터선별 #캠퍼스특허유니버시아드유효데이터선별 #특허유니버시아드유효특허 #유효특허선별 #CPU대회 #특허분류 #기술분류 #기술범주설정

댓글